100년 뒤 강원지역 인구가 36만명까지 감소할 것이라는 충격적 전망이 나왔다. 2037년부터 인구 감소가 시작돼, 2045년에는 환갑이 ‘중간 나이’에 포함될 정도로 인구소멸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현재 153만명인 강원특별자치도 인구는 2052년 133만명으로 줄기 시작해 2072년 99만명, 2122년에는 36만명으로 감소한다. 합계출산율과 사망률 등이 예상보다 부정적인 ‘저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최악의 경우 100년 뒤 강원특별자치도 전체 인구가 현재의 원주시(36만명)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예측이다.
합계출산율, 기대수명, 국내 순이동 등이 중간 수준에서 움직이는 중위 시나리오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강원지역 인구는 30년 뒤 2052년 144만명, 50년 뒤 2072년 116만명, 100년 뒤 2122년 63만명으로 쪼그라든다. 통계청은 강원의 경우 2030년대까지 인구 성장을 보이다가 2037년 이후 감소해 2022년 대비 2052년엔 5% 내외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장 30년 뒤 현재보다 인구가 9만명(5.8%)이나 줄어든다는 예측이다.
이미 강원지역은 자연인구 증가율이 2022년 기준 –0.47%를 기록하는 등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소멸 ‘데드크로스’에 접어들었지만, 그나마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로 이 수준을 유지해왔다. 2022년까지는 강원지역에서 전년 대비 인구성장률이 0.45%를 기록하며 소폭이지만 증가세를 보여왔으나, 2052년에는 이마저도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감소(-0.73%) 추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출생아 수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중위연령은 2022년 49.0세에서 2025년 51.1세, 2045년 61.4세, 2052년에는 63.0세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는 40대가 중간이지만, 20년 뒤에는 환갑이 넘어야 중간 나이가 된다는 의미다. 현재 인구 피라미드는 중간 연령층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이지만, 점차 아랫부분이 좁아지고 윗부분이 넓어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할 전망이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생산을 담당하는 15~64세 인구는 줄어들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부양비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0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67.5%를 차지하는 생산연령인구는 30년 뒤 66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5.8%까지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3만명에서 68만명으로, 인구 비중은 21.9%에서 47.1%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는 32.5명에서 102.8명으로 늘어나, 부양할 청장년보다 부양을 받는 노인이 더 많아지게 된다.
강원자치도는 지난해 12월 ‘인구정책 및 인구감소 대응에 관한 조례’를 공포하는 등 지역소멸에 대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조례에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생활인구 확대‧조사‧연구‧지원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됐다. 지난 8일에는 인구소멸 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강원자치도에서 추진하는 인구정책 관련 사업을 정리해 지속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명선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는 “인구 감소 위기에서 지속적인 대안 발굴을 위한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며 “도청 전 부서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권소담 기자 ksodamk@mstoday.co.kr
(확인=김성권 데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