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천군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참전 수당’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강원특별자치도는 충청남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평균 지급액(광역+기초)을 보였다.
국가보훈부는 지난 17일 전국 지자체 ‘참전 수당’ 지급현황을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국 각 지자체가 참전유공자를 대상으로 지급하는 참전 수당은 평균 23만 6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참전 수당 가이드라인이 발표될 당시 금액인 18만3000원보다 5만3000원(29%)이 인상된 수치다.
전국 지자체 참전 수당 평균 지급액(광역+기초 지자체 지급액을 합산한 금액)은 23만6000원이다.
기초 지자체로만 보면 △화천군 △당진시 △아산시 △서산시가 가장 많은 50만원의 참전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광역지자체 평균은 충청남도가 4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특별자치도도(31만5000원) △경상남도(27만1000원) △서울시(26만6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보훈부는 2025년 말까지 광역 단체와 기초 단체의 합계액이 전국 평균(18만 원)을 충족하는 기초 단체가 광역 단체 내 과반수가 되도록 권고하는 가이드라인 2단계를 추진한다.
지난 2023년 1단계 가이드라인 발표 후 참전 수당을 지급하지 않던 기초 지자체 21곳 중 19곳이 참전 수당을 신설했다고 국가보훈부는 설명했다.
‘지자체 참전 수당 가이드라인’ 2단계는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당을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매월 이행 상황을 점검하여 반기별로 지급현황을 공개할 예정이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참전 수당 가이드라인 권고 이후 많은 지자체가 참전 수당을 신설하거나 인상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참전유공자 예우 우수 지자체의 모범 사례가 전국으로 확산, ‘모두의 보훈’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정부는 65세 이상의 한국전쟁과 월남전 참전유공자에게 월 45만원(2025년)의 참전 명예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참전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지급액이 상이해 국가보훈부는 참전 수당의 상향 평준화를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발표·권고하고 매년 참전 수당 지급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윤수용 기자 ysy@ms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