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춘천 100억 들이고도 못 지킨 소나무, 범정부 대처 필요하다
  • 스크롤 이동 상태바

    [사설] 춘천 100억 들이고도 못 지킨 소나무, 범정부 대처 필요하다

    • 입력 2024.05.29 00:01
    • 기자명 MS투데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클리매거진 204호 1면.
    위클리매거진 204호 1면.

     춘천시 일대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심각하다. 한창 푸르러야 할 산림 곳곳이 단풍이라도 든 듯 갈색으로 변해 있다. 이른바 ‘소나무 암’,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재선충병에 말라 죽은 나무들이다. 치사율이 100%다. 산림자원을 파괴하는 재선충병 팬데믹이나 다름없다. 대학가나 시내 근처에서도 직접 확인하기가 어렵지 않다. 문제는 춘천에 국한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국적이다. 치료 약이 없어 과학적으로 예찰하고 방제하는 동시에 체계적으로 확산을 막는 게 최선이다. 감염된 나무는 과감하게 베어낼 수밖에 없다. 지역 간의 긴밀한 공조는 필수다. 재선충병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소나무재선충은 무시무시한 해충이다. 감염된 나무는 반드시 죽는 탓이다. 재선충은 솔수염이나 북방수염하늘소와 같은 매개충의 번데기에 기생하는 1㎜의 실 같은 벌레다. 자체 이동이 불가능하다. 매개충이 커 다른 나무로 옮겨갈 때 들러붙어 있다 잣나무, 적송, 해송 등 소나무림에 침입하는 것이다. 20일쯤이면 암수 한 쌍이 20만 마리로 불어날 만큼 번식이 빠르다. 감염된 나무 는 수분과 양분의 통로가 막혀 2~3개월 안에 고사한다. 걸리면 끝장인 셈이다. 솔잎혹파리, 솔나방 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치명적이다.

     강원 지역에서 재선충병으로 죽은 나무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만 4847그루다. 88%가량이 춘천시의 점유율이다. 유독 피해가 크다. 춘천시는 재선충병의 방제와 확산 방지에 노력했고, 힘쓰고 있다. 모르는 바가 아니다. 지난해 9월부터 지난 3월까지도 방제작업을 폈다. 남산면, 북산면 등 일대에서 상반기에만 1만여 그루의 나무를 제거했다. 원인을 상황적으로 따져보면 잣나무 등이 많은 데다 재선충의 피해가 큰 경기도 가평군 등과도 밀접해 있다. 최근 3년간 100억 원을 방제에 투입했지만, 재선충의 확산을 진정시키기엔 역부족이다. 예산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전담인력이 1명뿐인 점 역시 간과할 순 없다.
     
     국가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산림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만 맡길 수 없다. 소나무림은 국내 산림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산림청이 집계한 2023년 4월 기준 재선충병 발생 지역은 전국 시군구의 56.6%인 142곳이다. 최근 5년간 피해 나무는 264만여 그루다. 재난이다. 소나무가 위태로운 만큼 엄청난 국가 손실이다. 나아가 잘라낸 나무가 많을수록 산사태의 위험이 커지고, 죽은 나무는 산불의 불쏘시개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산림자원 보호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지구온난화 대책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범정부적 컨트롤 타워의 구축과 방제 시스템의 재점검 등이 요구되는 이유다. 지속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방제에 나서야 함은 물론이다. 산림 생태계의 연구도 뒤따라야 한다. 재선충 발생과 미발생 지역뿐만 아니라 방제와 차단에 성과를 낸 지역과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당연하다. 소나무 없는 국토를 볼 수는 없다.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9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