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수부도시 춘천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 강원 대표 도시라는 위상은 사라진 지 오래다.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중심에 설 기회를 되찾는가 했지만, 오히려 경쟁 도시에 밀려나는 수모를 연달아 겪었다. 지난해 출범한 민선 8기 춘천시정에 들어 이같은 위기가 더욱 심화하자 “육동한 시장의 행정력이 문제”라는 평가까지 나온다.<편집자 주>
춘천시의 경쟁력 약화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서 드러난다. 도시 경쟁력을 보여주는 인구수는 이미 20년 전 원주에 역전당했고, 경제 규모의 차이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1994년만 해도 춘천 인구는 18만7159명으로 원주 17만9828명보다 1만명 가까이 많았다. 그러나 1995년 도시와 농촌 지역을 통합하는 도농통합시가 탄생하면서 원주(23만7537명)가 춘천(23만2682명)을 4855명 앞지르기 시작했다.
28년이 지난 올해 기준 춘천 인구는 28만6850명, 원주는 36만752명으로 7만3000여명 이상 격차가 벌어졌다. 이 기간 원주 인구는 12만3215명이 증가한 반면 춘천은 5만4168명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 규모도 이미 원주에 추월당한 지 오래다. 2020년 기준 지역내총생산(GRDP)은 춘천이 8조1333억원으로 원주(9조669억원)보다 1조원(10.3%) 가량 뒤처진다. 특히 산업의 핵심인 제조업 분야에서 춘천(5347억원)은 원주(1조4891억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도소매업 분야에서도 춘천(3212억원)과 원주(4965억원) 간 격차가 1753억원(35.3%)이나 벌어졌다.
시군구별 GRDP가 추산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자료를 보면, 춘천은 최근 10년간 경제 규모 측면에서 원주와 10~20% 수준 뒤떨어진 격차를 유지하고 있다. 두 지역 간 총생산액은 건설경기 주기에 따라 변동이 큰데, 2015년 당시 1조5420억원(19.3%)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고용률은 몇 년째 도내 꼴찌를 면치 못하고 있다. 춘천시의 최근 5년간 고용률 평균은 58.5%로 원주(60.6%), 강릉(59.6%)보다도 낮은 수치다. 도청 소재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안고도 도내 최저 수준이며, 전국으로 범위를 넓힌다 해도 최하위권이다.
인구 격차만큼 경제활동 규모에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노동시장에 참가할 수 있는 1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하반기 기준 춘천이 25만5300명으로 원주(31만3000명)보다 18.4%(5만7700명) 적은데, 경제활동인구는 춘천 15만4900명, 원주 19만5200명으로 이보다 더 큰 20.6%(4만300명)의 격차가 난다. 인구 규모와 비교해 생산 활동에 나서는 인력이 적다는 의미다.
춘천시의 입지는 민선 8기 들어서 더욱 급격하게 좁아지고 있다. 최근 각종 정부 정책과 국책사업 선정에 밀리면서다. 지역 사회에서는 춘천시가 홀대받는 배경에 안일한 행정력과 단체장의 리더십의 부재를 지적한다. 당장의 경제 위기를 극복할만한 묘안도, 장기적인 성장 전략도 보이지 않는다.
나철성 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은 “가장 큰 문제는 육동한 시장의 행정력”이라며 “그가 내세운 사업 자체가 거칠고 뚜렷한 계획이 없다. 취임한 지 1년이 다 돼가는데도 뭘 중심으로 육성하겠다는 로드맵이나 치밀한 계획이 아직도 보이지 않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별취재팀
유지했어야지
그당시 국회의원 하던 김진태 뭘했다고
도지사 뽑아주고
도지사 뽑아주니
원주에 반도체단지 유치한다하고
당연히 인구 증가수가 밀릴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