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춘천 옛 캠프 페이지 개발, 밀어붙이기식 안 된다
  • 스크롤 이동 상태바

    [사설] 춘천 옛 캠프 페이지 개발, 밀어붙이기식 안 된다

    • 입력 2023.10.04 00:00
    • 수정 2023.10.04 13:42
    • 기자명 엠에스투데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춘천시가 발표한 옛 캠프 페이지 부지 개발 계획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거세다. 지난달 4일 축구장 72배인 51만㎡ 규모 캠프 빈터에 2조 원을 투입해 도시 숲과 문화, 첨단산업, 주거 등이 공존하는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계획을 내놓으면서다. 캠프 공터는 앞서 국토교통부의 2023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로 선정됐다. 도시재생 혁신은 지방 거점도시의 쇠퇴지역을 되살리는 사업이다. 그러나 “반가운 일”이라는 지지의 다른 쪽에서는 “독선적 결정”이라는 날 선 목소리가 만만찮다. 

     캠프 페이지는 6·25 전쟁 와중인 1951년부터 2005년까지 미군 부대였다. 춘천시는 2013년 국방부로부터 캠프의 소유권을 이전받아 시민에게 전면 개방했다. 개발 방향을 놓고 공원, 도청사 후보지, 첨단 지식산업 단지 등이 심도 있게 검토됐지만, 확정하지 못했다. 밑그림은 선거 때마다 바뀌었다. 최문순 전 지사의 캠프 내 도청 건립안은 김진태 현 지사에 의해 백지화됐다. 문화재 발굴과 토양 오염 등의 문제 또한 부지 개발의 발목을 잡았다.

     춘천시 개발 계획은 지지부진했던 캠프 부지 활용 사업에 대한 새로운 물꼬를 텄다. 시범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찬성하든 반대하든 들썩이고 있다. 육동한 시장은 “도시재생 혁신지구를 통해 시들어가는 근화동, 소양동 및 명동 등 구도심의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캠프 개발을 도시재생의 마중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이 지난달 4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옛 캠프페이지 도시재생 혁신지구 개발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춘천시)
    육동한 춘천시장이 지난달 4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옛 캠프페이지 도시재생 혁신지구 개발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춘천시)

     갈 길이 한참이다. 개발 재원조달, 토양 오염 등도 문제이지만 무엇보다 당장 캠프 활용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와 합의가 우선이다. 시민사회단체는 “부동산 개발”이라며 계획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인구 정체가 가시화된 상황에서 공공부동산 개발은 어처구니없는 행정이라는 비판이다. 캠프 주변의 시민들은 “전입 인구의 정착을 위해 반드시 공동주택이 필요하다”며 환영한다.

     캠프 부지는 춘천의 향후 100년과 시민 삶의 질을 담보하는 소중한 자산이다. 개발의 대전제이자 찬반의 접점이다. 개발 계획은 이해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영역을 고려해 할애한 ‘종합판’ 격이다. 서울 용산공원의 개발 초기와 다르지 않다. 모든 욕구를 충족시킬 순 없다. 뺄 건 빼야 한다. 미군 캠프가 있던 부산, 인천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하는 이유다. 해외 사례도 마찬가지다. 시에서 늦게나마 밝힌 ‘공청회와 의견 청취’는 옳다. 시민들의 폭넓은 의견수렴과 충분한 협의가 없이는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없다. 적극적인 참여는 시민권의 행사다. 도출한 내용의 과감한 보완은 당연하다. 개발은 시민들에게 더 나은 삶을 약속하는 미래의 설계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0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