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A는 무엇인가요?··· ‘A에서 시작되는 울림’
  • 스크롤 이동 상태바

    당신의 A는 무엇인가요?··· ‘A에서 시작되는 울림’

    A=기준음··· 각기 다른 기준 넘쳐나는 시대
    ‘에코 체임버 효과’에 대한 저마다의 시선
    “자신만의 온전한 기준 찾는 계기 되길”

    • 입력 2022.04.05 00:01
    • 수정 2022.04.05 18:03
    • 기자명 조아서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T&G 상상마당 춘천’에서 올해 첫 기획전시 ‘A에서 시작되는 울림’이 오는 8일부터 6월 8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KT&G 상상마당 춘천에서 ‘클래식: 시대를 초월하는, 그리고 극복하는’이라는 통합 주제로 올해 선보일 시각 예술, 공연 예술, 교육 및 공간 콘텐츠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의 첫걸음이다.

    클래식의 어원인 ‘클라시쿠스(Classicus)’는 로마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에 함대를 제공할 수 있는 부자들을 의미했다. 이 어원은 인간이 정신적, 심리적 위기를 맞았을 때 진정한 힘을 부여하는 문예로 의미가 변화했다.

     

    에이블네이처의 미디어 인터랙티브 작품 ‘소리심기’. (사진=조아서 기자)
    에이블네이처의 미디어 인터랙티브 작품 ‘소리심기’. (사진=조아서 기자)

    전시명 ‘A에서 시작되는 울림’에서 ‘A’란 악기 조율을 위한 기준 음으로 건반 ‘라’를 의미한다. 기준 음 A(라)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음에도 시대마다, 지역마다 주파수(Hz)를 실정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해왔다.

    같은 음을 누르지만 미세하게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현상은 한 곳에 모여 있어도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현대 사회의 이면과 맞닿아 있다. 

    이를 나타내는 사회현상이 바로 ‘에코 체임버 효과’다. 이는 각종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가 난무하면서 편향성으로 인해 자신이 속한 소수 집단의 논리만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본래 ‘소리가 울리는 방’이라는 뜻으로 클래식 연주 공간을 지칭했지만 현대에 이르러 파편화된 나노 사회와 이들이 해시태그를 통해 다시 재조합되는 태그니티(Tagnity)의 과정을 빗대어 표현한다.

     

    유리 작가의 ‘틈과 틈 사이’. (사진=조아서 기자)
    유리 작가의 ‘틈과 틈 사이’. (사진=조아서 기자)

    ‘당신의 A는 무엇인가요?’라는 이번 전시의 공통 질문에 대한 작가들의 답변은 각기 다른 작품으로 탄생했다. 에이블네이처(신승재, 김지수, 오세민), 유리, 손선경, 안부, 최종운 다섯 팀은 저마다의 관점으로 다섯 악장을 구성했다.

    제1악장은 에이블네이처의 미디어 인터랙티브 작품 ‘소리심기’다. 작가들은 인간과 자연의 소통을 탐구하고, 자연의 목소리를 실재화하고자 한다. 식물을 만지면 칼슘이온 농도가 증가하는데, 이때 식물에 부착된 전극 센서가 반응하면서 해당 데이터를 입체 음향 시스템을 사용해 사운드로 변환시킨다.

    제2악장의 유리 작가는 캔버스를 구성하는 대상들의 모호한 경계로 언어와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균열을 표현한다. 작가는 작품을 구성하는 색, 이미지, 작품명 등으로 정답이 없는 말을 건넨다.

     

    손경선 작가의 ‘Girl with stone1, 2’. (사진=조아서 기자)
    손경선 작가의 ‘Girl with stone1, 2’. (사진=조아서 기자)

    제3악장을 구성하는 손경선 작가는 흑백 컬러와 반복적인 이미지로 애니메이션 비디오 작품들을 선보인다. ‘Girl on the line’과 ‘Girl with stone1, 2’은 재난과 같은 현실 속에서도 꿋꿋이 나아가는 이들을 단순하지만 강력하게 나타낸다.

     

    안부 작가의 ‘겹’. (사진=조아서 기자)
    안부 작가의 ‘겹’. (사진=조아서 기자)

    제4악장의 안부 작가는 ‘나’에서 시작되는 모든 관계에 집중한다. 관계가 만들어낸 흔적과 파편을 모아 놓은 그의 작품은 낯설기도, 익숙하기도 한 장면의 연속이다.

     

    최종운 작가의 ‘This is Orchestra’. (사진=조아서 기자)
    최종운 작가의 ‘This is Orchestra’. (사진=조아서 기자)

    제5악장인 최종운 작가의 ‘This is Orchestra’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산업 부속품들을 재료 삼아 악기의 형태로 재조직한 작품이다. 와이파이를 이용해 관람객들에게 가상의 지휘자가 되는 경험을 제공한다.

    저마다 다른 소리의 방향을 이해하고 새로운 내면의 소리를 만들어낸 다섯 악장의 교향곡은 따로, 또 같이 조화로운 하모니를 이룬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이번 전시에서 자신만의 기준음 'A'를 찾고, 새로운 울림을 발견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조아서 기자 chocchoc@mstoday.co.kr]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