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는 사회적경제] 3. 춘천 사회적경제, 어디까지 왔나(上)
  • 스크롤 이동 상태바

    [대세는 사회적경제] 3. 춘천 사회적경제, 어디까지 왔나(上)

    춘천 사회적경제, 협동조합 중심으로 발전
    평균 부채비율 76%···재무안정성 양호해
    근로자 5명 중 1명, 취약계층 근로자

    • 입력 2021.07.02 00:00
    • 수정 2021.07.06 15:12
    • 기자명 박수현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과 4년 전까지만 해도 춘천의 사회적경제 조직은 150개 정도에 머물러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춘천시와 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의 민간위탁 조직인 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 출범을 시작으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작업이 한창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가 춘천지역 내 116개 조직과 지역주민 500명, 지자체 공무원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조사 보고서’를 내놨다. 지역 중심 사회적경제 발굴 수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전반적인 현황, 일반시민들의 인식 수준, 공무원들의 사회적경제 이해도 등을 측정한 지표다.

    MS투데이는 춘천 사회적경제의 발전은 어디쯤 왔는지, 200쪽 분량의 조사보고서가 제시하는 사회적경제의 방향은 무엇인지 분석, 정리했다.

     

    2019년 열린 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 정기총회. (사진=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
    2019년 열린 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 정기총회. (사진=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

    ▶협동조합 중심으로 성장한 춘천 사회적경제

    춘천의 사회적경제 조직 10곳 중 7곳은 협동조합이다. 민선 7기 춘천시가 ‘협동조합의 도시’를 시정 비전으로 내건 이후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의 양적팽창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직의 법적 형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조직 316개 중 일반협동조합이 170개(53.8%)로 가장 많았다. 사회적협동조합이 40개(12.7%)로 그 뒤를 이었으며, 인증사회적기업 23개(7.3%), 예비사회적기업 19개(6%), 중소기업협동조합 14개(4.4%), 자활기업 10개(3.2%), 마을기업 9개(2.8%) 순으로 나타났다.

    주 업종은 전국 현황과 유사한 모습이다. 교육서비스업이 24.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제조업(15.5%),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12.9%), 금융 및 보험업(10.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6.9%), 숙박 및 음식점업(6%) 등이 뒤를 이었다. 농업·임업·어업은 4.3%에 불과했다.

    전국 단위로는 교육 서비스업(15.6%)이 가장 많고 이어 제조업(14.8%), 금융 및 보험업(12.7%), 도매 및 소매업(12.1%),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4.7%) 순이다.

    ▶춘천 사회적경제 재무안정성 대부분 ‘무난’

    춘천에서 농축협과 신협,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전체 사회적경제 조직의 규모는 2019년 기준 293억8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자산은 3억원 정도다.

    조직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협동조합(15억6000만원)이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 뒤로는 인증사회적기업(6억2000만원), 소비자생협(4억2000만원), 사회적협동조합(3억3000만원), 자활기업(2억5000만원) 순이었으며 일반협동조합과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평균 자산은 1억원을 넘기지 못하는 영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춘천 사회적경제 조직의 재무안정성은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농축협, 신협,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본 총계와 부채 총계를 분석한 결과, 평균 부채비율은 76.4% 정도로 무난한 수준이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부채비율이 100% 이하로 나타나면 재무안정성에 큰 문제는 없다고 여겨진다.

    이를 조직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회적협동조합의 부채비율이 14.1%로 가장 안정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며 일반협동조합과 자활기업이 각각 60.3%, 68,9%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비사회적기업과 인증사회적기업은 100%를 초과한 124.7%, 185.5%였고 마을기업은 600%를 넘어 재무안정성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래픽=박지영 기자)
    (그래픽=박지영 기자)

    ▶춘천 사회적경제 조직, 영세 기업 多

    같은 기간 춘천 사회적경제 조직이 사업을 영위하며 거둬드린 평균 매출은 2억8000만원, 영업이익은 9000만원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소비자생협의 영업이익이 각각 16억8000만원, 1억7000만원이었고 일반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인증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자활기업의 평균 영업이익은 3000만원을 넘기지 못하는 영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을기업은 1188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같은 재무 상황은 보통의 기업체를 평가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그러나 사회적경제 조직이 비영리적 특성을 갖는 만큼, 이것만으로 성과를 판단하기엔 무리가 크다.

    조경자 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장은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사업을 영위함에 따라 사회로 환원되는 가치를 따진다면 당장 두드러질 정도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성과가 약한 것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고용 창출 ‘톡톡’

    사회적경제 조직에 종사하는 유급근로자는 총 742명(평균 7.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규직은 540명(평균 5.4명)으로 전체 중 72.8%에 해당하며 그중에서도 춘천지역 취약계층 근로자가 48명(평균 1.2명)에 달했다.

    사회적경제 조직 근로자 742명은 춘천시 전체 근로자의 0.006%에 불과한 숫자지만 정규직 근로자와 취약계층 근로자 비율을 감안했을 때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눈여겨볼 점은 전체 유급근로자 중 146명(19.7%)이 노인과 이주여성, 장애인,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 근로자라는 것이다. 사회적경제 조직 종사자 5명 중 1명이 취약계층 근로자인 셈이다.

     

    (그래픽=박수현 기자)
    (그래픽=박수현 기자)

    실제로 사회적기업의 경우 유형에 따라 취약계층 의무고용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중 일자리 제공형의 경우 30% 이상을 반드시 취약계층으로 고용해야 한다. 혼합형은 20% 이상을 고용해야 하며 지역사회 공헌형은 20%를 고용하거나 지역 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이송림 춘천사회적경제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사회적경제 기업과 일반기업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사람’이다”며 “사람을 중요시하다보니 (일반기업과 달리) 취약계층에게도 지역사회 내에서 근로활동을 하며 같이 살아가야한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진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기자 psh5578@mstoday.co.kr]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